Study 12

[PM준비생] PM이 AI를 위해 익혀야 할 내용

요즘 AI 관련된 글을 읽을 때마다 문득 더 자세히 알고 싶었던 용어들을 정리하고자 한다.  1. LLM (Large Language Modol): 자연어 처리(NLP)를 기반으로 하는 초대형 딥러닝 모델, 방대한 양의 텍스트 데이터를 학습하여 인간 언어를 이해하고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 특징  수십억 개의 이사으이 매개변수와 대규모 텍스트 데이터로 훈련하며, GPT-4을 포함한 여러 생성형 AI도 수백억~수조 개의 토큰을 학습트랜스포머(Transformer)라는 딥러닝 구조를 사용하고, 셀프 어텐션(Self-Attention) 메커니즘을 통해 문맥을 이해 / 단어 간의 관계를 파악명시적인 추가 학습 없이도 새로운 작업에 적응(제로샷 학습)하거나, 몇 가지 예제만으로 새로운 작업을 수행(퓨샷 학습..

Study/Dev 2025.03.10

PM준비생이 데모버전으로 앰플리튜드(Amplitude) 공부하기

실무에서 앰플리튜드 사용한 경험은 없지만!  그래도 뭔지 궁금해서 데모버전으로 살펴본 앰플리튜드 후기앰플리튜드에서 사용되는 가장 기본적인 용어 정도는 미리 데이터 관련 공부를 좀좀따리 해놨더니 이해하는 데 큰 어려움은 없었던 것 같다. (그래도 부족하겠지만..)역시 허튼 배움은 없다https://oyei99.tistory.com/29 PM준비생이 데이터 분석 '지표' 공부하기미리 보는 오늘의 인사이트지표란 실제 사용자 행동 데이터를 통해 인사이트를 얻어야 하고, 어떠한 액션을 취할 지 방향성을 잡을 수 있는 지표가 좋은 지표이다. 지표를 통해 적절한 행동 방oyei99.tistory.com   관련 무료 강의를 들었을 때회사마다 다르겠지만 Segmentation, Funnel, Data Table, Re..

Study/Data 2025.02.26

[오픽 OPIc] IH 후기 l 강서 CBT 센터 l 공부방법

오늘은 저의 첫 오픽 시험 후기를 남겨보려고 합니다•••2025년 시작과 동시에 본격적인 취준을 하려고하니어학점수가 있으면 더 좋을 것 같아 처음으로 오픽을 경험해봤어요. 이미 만료된 토익점수는 있으나마나 했던 쓸모없던 점수였고,어차피 해야 하는 영어공부라면이론보다는 내가 잘 써먹을 수 있는 회화공부를 해보고싶어서 오픽으로 선택했습니다.  강서 CBT 센터 저는 강서 CBT센터에서 응시했습니다알고 선택한 건 아니었는데 유일하게 유리칸막이로 되어있는 시험장이래요!아무래도 다수가 한 공간에서 영어로 나불거려야 하고,최대한 잘 하는 척 해야해서 좀 부끄러웠는데최대한의 프라이빗함이 보장된 느낌이었어요ㅋㅋ 신방화역 2번출구로 나가면 1분만에 도착할 수 있는 위치라 접근성도 최고랍니다    시험 후기저의 후기는 생..

Study 2025.02.26

PM준비생이 데이터 분석 '지표' 공부하기

미리 보는 오늘의 인사이트지표란 실제 사용자 행동 데이터를 통해 인사이트를 얻어야 하고, 어떠한 액션을 취할 지 방향성을 잡을 수 있는 지표가 좋은 지표이다. 지표를 통해 적절한 행동 방식을 바꾸려면파악하려는 목표에 따라 지표 선정이 중요하다.단순히 A페이지에서 B페이지로 넘어가는 것이 중요하다면, 페이지 전환율을 확인하면 되지만A페이지에서 어떤 루트로 B페이지로 넘어갔는지가 중요하다면, 특정 버튼 클릭율을 확인해야 한다.클릭율과 페이지 전환율의 의미를 동일하게 생각하면 안 된다.  강의를 들으며 크게 느낀 점은 당연한 것은 없다이다.프로세스를 효율적으로 개선하자!→효율적이다의 개념은 무엇인가? (소요시간이 적은지, 전환율이 높은지, 클릭률이 높은지 등)효율적이라함은 당연히 간소화, 최적화 등을 생각하고..

Study/Data 2025.01.30

PM준비생의 SQLD 문제 풀기 : 까먹기 전에 몸으로 기억하자!

저는 24년 4월 SQLD 자격증을 취득했습니다 하지만한방에 합격한 것과 실무에서 실제로 활용하는 것은 천차만별!근데실무에서 써먹어보기도 전에 뇌에서 정보 로그아웃하기 일보 직전 위급상황이라무료 사이트에서 연습하며 그때의 기억을 되살리기 프로젝트에 들어갑니다.  취득 후기 포스팅은 아래 주소 참고참고 ..https://blog.naver.com/jo_hyein99/223459950593 [제52회 SQLD] 비전공자 합격 후기ㅣ공부시간ㅣ공부방법 ㅣ 접수안녕하세요. 오늘은 3월에 치뤘던 제52회 sql 개발자 (SQLD) 합격 후기를 적어보겠습니다! 후기에 앞서...blog.naver.com   이미지와 같이 DB 안에는 여러 데이터 테이블로 구성되어 있습니다.PM, 서비스기획자는 존재하는 데이터들로 유의..

Study/Data 2025.01.23

PM 준비생이 '데이터 리터러시(Data Literacy)' 공부하기

미리 보는 오늘의 인사이트데이터 활용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목적 중심 사고이다.이 데이터로 어떤 문제를 해결할지부터 시작해서,결론적인 문제 해결 방법 대안은? 그 대안이 비즈니스에 적합한지? 이 대안이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지? 등을 모두 고려해봐야 한다.그리고 데이터가 그냥 '정답'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틀린 답이다.데이터는 더 나은 의사결정을 도와줄 뿐이고, 내가 목적에 맞게 유의미한 선택과 수집을 거쳐야 한다.때문에 초기 목적 정의 단계가 더 중요하다.  데이터 리터러시?리터러시(문해력, literacy)는 ‘글을 읽고 이해하는 능력’을 의미즉, 데이터를 분석하고 활용하는 능력을 의미 데이터를 활용하여 올바른 의사결정을 내리고, 분석 결과의 가치를 이해관계자에게 전달하는 것들을 포함  좋은 제품..

Study/Data 2025.01.23

[IT기획자준비]HTTP에 대해 알아보자. 3/3 (헤더ㅣ쿠키ㅣ캐시)

강의 정리 전, 캐시와 쿠키에 대해 정리해보기📝✔️쿠키란, 서버가 데이터를 사용자 브라우저에 저장한 후 다시 그 데이터를 받아오는 것✔️HTTP는 stateless하기 때문에 서버와 클라이언트 상태가 항상 연결 되어있지 않고 요청마다 독립적임  때문에, 다시 접속했을 때 클라이언트를 구분하기 위해 쿠키를 주는 방식✔️캐시란, 클라이언트가 이용하는 서비스 과정에서 재사용할 수 있는(또는 자주 사용되는) 데이터들을 더 빠르게 접근하기 위해 임시로 보관되는 저장 공간✔️캐시를 활용하면 로딩 시간 개선 가능  (*캐싱 : 데이터를 캐시에 저장하는 행위) HTTP 헤더용도HTTP 전송에 필요한 모든 부가정보메시지 바디의 내용, 메시지 바디의 크기, 압축, 인증, 요청 클라이언트 등 HTTP 바디용도메시지 본문을..

Study/Dev 2025.01.06

[IT기획자준비] HTTP 상태코드 종류?

상태코드1xx(Information) : 요청 수신되어 처리 중2xx(Successful) : 요청 정상 처리 200 OK201 Created : 생성된 리소스는 Location 헤더 필드로 식별202 Accepted : 요청 접수 됐으나 완료는 x, 배치 처리 프로세스에 사용204 No Content : 서버가 요청 성공적으로 수행했지만, 응답 페이로드 본문에 보낼 데이터x3xx(Redirection) : 요청을 완료하려면 추가 행동 필요301 Moved Permanently  : 영구 리다이렉션, 리다이렉트 시 요청 메서드가 GET으로 변하고 본문이 제거될 수 있음302 Found :일시적 리다이렉트, 리다이렉트 시 요청 메서드가 GET으로 변하고 본문이 제거될 수 있음303 See Other : 일..

Study/Dev 2025.01.06

[IT기획자준비]HTTP에 대해 알아보자. (2/3)

HTTP API URI URI는 계층 구조 활용하여 설계, 리소스 식별하도록 설계 HTTP 주요 메서드GET : 리소스 조회서버에 전달하고 싶은 데이터는 쿼리 파라미터, 뭐리 스트링을 통해서 전달메시지 바디를 사용해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지만, 지원하지 않는 곳이 많아 권장 xPOST : 요청 데이터 처리, 주로 등록에 사용요청 데이터 처리메시지 바디를 통해 서버로 요청 데이터 전달/ 서버는 요청 데이터를 처리(메시지 바디를 통해 들어온 데이터를 처리하는 모든 기능 수행)주로 전달된 데이터로 신규 리소스 등록, 프로세스 처리에 사용 1. 새 리소스 생성 (등록)서버가 아직 식별되지 않은 새 리소스 생성2. 요청 데이터 처리3. 다른 메서드로 처리하기 애매한 경우 (JSON으로 조회 데이터 넘기는데, G..

Study/Dev 2025.01.02

[IT기획자준비]HTTP에 대해 알아보자. (1/3)

IP (인터넷 프로토콜)지정한 IP 주소(IP Address)에 데이터 전달 (출발/목적)패킷(Packet)이라는 통신 단위로 데이터 전달(클라이언트 패킷 전달 > 서버 패킷 전달을 통해 노드끼리 전달) 프로토콜이란,데이터를 메시지를 주고 받는 양식과 규칙의 체계HTTP, HTTPS, FTP, SFTP, SSH, SSL, SOAP, Telnet, ARP 등이 있음 IP 프로토콜의 한계비연결성 : 패킷을 받을 대상이 없거나 서비스 불능 상태여도 패킷 전송(패킷을 받을 서버가 이미 죽어있는 서버여도 전송이 진행됨, 서버에 잘 전송되고 있다가 노드가 갑자기 꺼져버리면 유실될 수 있고 유실되어도 모름 등)비신뢰성 : 중간에 패킷이 사라진다면? 패킷이 순서대로 안 온다면?(패킷이 길면 끊어서 보냄 1:Hello,..

Study/Dev 2024.12.31